2025년 10월 17일 금요일

돌아온 '햇볕정책'?…통일부, 대북 유화 제스처에 보수 진영 '부글부글'

2025-10-14 17:44

 통일부가 대대적인 조직 개편을 통해 남북 대화와 교류 협력 기능을 전면 복원한다. 이재명 정부의 '한반도 평화공존과 공동성장' 국정 목표에 발맞춰, 윤석열 정부 시절 축소되었던 조직과 기능을 '정상화'하는 데 초점을 맞춘 것이다. 이번 개편의 핵심은 폐지되었던 남북회담본부와 평화교류실의 부활이다. 남북회담본부는 남북 간 대화와 연락을 전담하는 핵심 기구이며, 평화교류실은 실장급 조직으로서 남북 교류와 협력을 총괄하는 역할을 맡게 된다. 이는 남북 관계의 복원과 발전에 대한 현 정부의 강력한 의지를 보여주는 대목으로, 경색된 남북 관계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을지 주목된다.

 

[BANNERAREA50CD]
반면, 윤석열 정부에서 북한 인권 증진을 목표로 신설되었던 인권인도실은 폐지되고 사회문화협력국으로 재편된다. 실·국·과 명칭에서 '인권'이 들어간 곳은 사회문화협력국 산하의 남북인권협력과가 유일하게 남는다. 장관 직속으로 운영되던 납북자대책팀 역시 폐지되어 사회문화협력국 내 이산가족납북자과로 통합된다. 이러한 변화는 북한 인권 문제에 대한 접근 방식이 이전 정부와 달라질 것임을 시사한다. 대신, 장관 직속으로 국장급 조직인 한반도정책경청단이 신설되어 사회적 대화를 통해 국민적 합의를 바탕으로 한 대북·통일 정책을 수립하는 역할을 맡게 될 예정이다.

 

이번 조직 개편으로 통일부의 정원은 533명에서 600명으로 늘어나고, 고위공무원 직위와 과·팀의 수도 증가한다. 이는 윤석열 전 대통령이 통일부를 '대북 지원부'라 비판하며 축소했던 정원의 약 80%가 회복되는 수준이다. 통일부는 2023년 9월 남북 대화 및 교류 협력 전담 부서가 폐지되면서 통일부의 핵심 기능이 사실상 무력화되었다고 평가하며, 이번 조직 개편을 통해 대화와 교류 기능을 회복하고 통일부 본연의 역할을 정상화하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통일부는 오는 15일 관련 시행령 개정안을 입법예고하고, 다음 달 초 조직 개편을 단행할 계획이다.

 

기사 김연우 기자 yeonwoo_kim@issuenfac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