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16일 일요일

결국 선 넘었다…'종묘 앞마당' 재개발 논란, 유네스코까지 등판하나

2025-11-13 17:59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서울 종묘 일대가 대규모 세계유산지구로 지정될 전망이다. 국가유산청은 13일 문화유산위원회 세계유산분과위원회를 열어 '종묘 세계유산지구 신규 지정 심의' 안건을 논의한다. 이번 지정은 종묘를 중심으로 총 91필지, 약 19만 4천여 제곱미터에 달하는 광범위한 지역을 포함하며, 이는 지난해 10월 지정 예고 이후 약 1년 만에 이루어지는 결정이다. 세계유산지구는 세계유산의 효과적인 보존 및 관리를 위해 '세계유산법'에 따라 지정되며, 등재된 유산 자체인 '세계유산 구역'과 주변 보호 구역인 '세계유산 완충구역'으로 나뉜다. 이번에 논의되는 범위는 모두 세계유산구역에 해당하지만, 향후 완충구역이 추가로 지정되거나 확대될 가능성도 남아있어 귀추가 주목된다.

 

[BANNERAREA50CD]
종묘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역대 왕과 왕비, 황제와 황후의 신주를 모시고 제사를 지내는 국가 최고의 사당으로, 그 역사적·문화적 가치를 인정받아 1995년 12월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되었다. 이는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과 함께 우리나라 최초의 세계유산 등재 사례로, 한국을 대표하는 문화유산으로서 상징성이 매우 크다. 이번 세계유산지구 지정은 이러한 종묘의 위상을 다시 한번 공고히 하고, 체계적인 보존 관리 시스템을 구축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국가유산청은 종묘 외에도 창덕궁, 화성, 경주역사유적지구 등 총 11건의 세계유산에 대한 지구 지정을 추진하고 있어, 국내 세계유산 전반에 대한 보호 체계가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결국 이번 세계유산지구 지정 심의는 단순히 행정적인 절차를 넘어, 역사 문화유산의 보존과 현대 도시 개발이라는 두 가지 가치가 충돌하는 지점에서 중요한 이정표가 될 것이다. 종묘를 둘러싼 논란이 연일 거세지는 가운데, 문화유산위원회의 결정은 우리 사회가 미래 세대를 위해 무엇을 남겨야 하는지에 대한 깊은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개발 논리에 밀려 역사적 가치가 훼손되는 우를 범할 것인지, 아니면 엄격한 보존 원칙을 통해 세계적인 문화유산의 품격을 지켜낼 것인지, 그 중대한 갈림길에 서 있다.

 

기사 강준혁 기자 Kang_hyuk2@issuenfac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