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0월 22일 수요일

탈출 시도하면 '사망'…동남아 범죄 지옥의 실태, 당신도 타깃이 될 수 있다

2025-10-16 17:17

 캄보디아를 비롯한 동남아시아의 범죄 소굴에서 벌어지는 참혹한 인권 유린 실태에 대해, 유엔(UN)이 이미 5개월 전 대한민국 정부를 포함한 주요국에 긴급 대응을 촉구하는 경고 메시지를 보냈던 사실이 뒤늦게 드러났다.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는 지난 5월, 특별보고관 3명의 공동 성명을 통해 해당 지역의 상황이 "인도주의적, 인권적 위기 수준"에 이르렀다고 선언했다. 이들은 동남아와 동아시아 국가들이 힘을 합쳐 피해자를 보호하고 범죄를 예방하기 위한 긴급하고 협력적인 조치를 즉시 취해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충격적인 것은, 이 심각한 내용의 경고문 사본이 당시 대한민국 정부에도 전달되었다는 점이다.

 

[BANNERAREA50CD]
더욱 심각한 문제는 이 범죄 조직들이 당국의 단속에도 불구하고 좀비처럼 사라지지 않는다는 것이다. 이들은 단속망을 피해 다른 곳으로 근거지를 옮겨 버젓이 운영을 계속하고 있으며, 심지어 이들의 잔인한 사업 모델이 세계 다른 지역으로까지 확산하고 있다는 증거도 포착됐다. 이 모든 것이 가능한 배경에는 현지에 만연한 부패의 사슬이 있다. 범죄 조직들은 정부 관계자, 정치인, 지역 유력가들과 결탁하여 비호를 받으며 처벌을 피해 가고 있다. 이 검은 커넥션이 존재하는 한, 범죄의 뿌리를 뽑는 것은 사실상 불가능에 가깝다는 것이 유엔의 분석이다.

 

유엔은 각국 정부의 대응이 턱없이 부족하다고 날카롭게 비판했다. 인신매매를 막기 위한 노력이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정작 중요한 피해자 신원 파악, 이들을 보호하고 지원하는 시스템, 가해자에 대한 강력한 처벌, 그리고 보복 조치 예방 등 핵심적인 조치들이 모두 미흡하다는 것이다. 유엔은 각국이 더 이상 지체하지 말고 즉각적으로 인권에 기반한 실질적인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거듭 촉구했다. 5개월 전, 대한민국 정부는 이 끔찍한 현실이 담긴 보고서의 사본을 전달받았다. 과연 그동안 무엇이 달라졌을까. 지금 이 순간에도 동남아 어딘가에서 고통받고 있을지 모를 피해자들의 절규를 생각하면, 더 이상 외면할 수 없는 질문이다.

 

 

 

기사 윤승우 기자 seung_59@issuenfac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