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복했다" 정글 동굴서 발견된 러시아 모녀, '자유'인가 '고립'인가?
2025-07-18 10:11
[BANNERAREA50CD]쿠티나는 현지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자신들의 삶을 "폭포에서 수영하고, 그림을 그리고, 점토로 만들며 즐겁게 지냈다"고 묘사했다. 그녀는 "자연과 조화를 이루며 사는 삶이었다"며, 9개월간 뱀 네 마리만 봤을 뿐 아무도 해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아이들을 위험에 방치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단호히 "사실이 아니다"라고 반박했다.
하지만 이들의 '자연주의 삶'은 또 다른 진실과 마주하고 있다. 두 딸의 아버지인 이스라엘 국적의 브라르 골드스틴(38)은 아이들의 공동 양육권을 요구하며 어머니의 주장을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는 "2024년 10월 이후로 아이들을 전혀 만나지 못했다"며, 쿠티나가 아이들을 학교에 보내지 않고 외부와의 접촉을 끊어 '고립'시켰다고 주장했다. 외국인등록소 방문에도 아이들을 만나지 못했다고 덧붙였다.
현재 인도 당국은 쿠티나와 두 딸의 비자 초과 체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러시아로 송환하는 절차를 밟고 있다. 그러나 양국 정부 모두 항공편 비용 지원에 소극적인 태도를 보여 실제 추방까지는 시간이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정글 동굴에서 발견된 모녀의 이야기는 한편으로는 현대 사회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연 속에서 자유를 찾으려는 개인의 열망을 보여주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아이들의 교육권과 사회적 연결성을 박탈한 '고립'이라는 비판에 직면해 있다. 과연 이들의 삶은 어머니가 꿈꾼 '조화'였을까, 아니면 아버지가 우려하는 '고립'이었을까. 진실은 여전히 동굴 속 어둠처럼 모호하다.
기사 윤승우 기자 seung_59@issuenfact.net
서울시극단의 화제작이자 17세기 고소설을 원작으로 한 연극 ‘퉁소소리’가 오는 9월 다시 관객들과 만난다. 지난해 11월 세종문화회관에서 초연돼 큰 반향을 일으켰던 이 작품은 조선 중기 문인 조위한의 고전소설 ‘최척전’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무대다. 고선웅 서울시극단장이 15년 동안의 고민 끝에 각색하고 연출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