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올 가방 원가 8만5천원? 명품 '뻥튀기' 가격, 알고 보면 노동 착취 덕분
2025-07-16 09:48
[BANNERAREA50CD]이번 사건에서 명품의 탐욕스러운 이윤 구조 또한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로로피아나 캐시미어 재킷의 2차 하청업체 생산 단가는 불과 80유로(약 13만원)였으나, 로로피아나는 이를 매장에서 최대 3000유로(약 484만원)에 판매했다. 1차 하청업체인 에버그린에 지급된 단가 역시 재킷 한 벌당 118~128유로(약 19만~20만원) 수준으로, 최종 판매가와 비교하면 상상을 초월하는 폭리 구조가 확인된 셈이다. 밀라노 법원은 로로피아나가 이러한 하청업체들의 불법 행위를 고의로 감독하지 않아 막대한 이득을 취했다고 명확히 지적하며, 1년간 사법 관리 대상으로 지정하는 강경한 조치를 취했다. 이는 로로피아나가 사법 관리 기간 동안 법적 요건을 충족하고 개선 노력을 보여야만 해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로로피아나 측은 공급업체가 법적, 계약상 의무를 위반하여 하청업체의 존재를 알리지 않았으며, 상황을 인지한 즉시 해당 공급업체와의 모든 관계를 끊었다고 해명했다. 또한 모든 불법 행위를 단호히 규탄하며 공급망 전반에 걸쳐 인권과 관련 법규 준수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주장했지만, 이러한 해명은 명품 브랜드들이 자신들의 공급망에 대한 실질적인 통제와 책임 의식이 부족하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일련의 사건들은 '메이드 인 이탈리아'라는 라벨이 더 이상 윤리적인 생산 방식이나 공정한 노동 환경을 보장하지 않을 수 있음을 시사한다. 명품 브랜드들은 화려한 이미지와 고가의 제품을 통해 소비자들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한다고 주장하지만, 그 이면에는 비인도적인 노동력 착취와 불법적인 생산 방식이 숨겨져 있을 수 있다는 불편한 진실이 존재한다. 이는 소비자들에게도 중요한 윤리적 질문을 던진다. 과연 우리는 이러한 방식으로 생산된 제품을 소비하는 것이 정당한가?
이탈리아 사법 당국의 지속적이고 강력한 조치는 명품 산업 전반에 걸쳐 투명성과 윤리적 책임 강화를 요구하는 강력한 메시지로 해석된다. 단순히 생산 비용을 줄여 이윤을 극대화하는 방식에서 벗어나, 공급망 전반에 걸쳐 인권과 노동법을 준수하고 공정한 생산 환경을 구축하는 것이야말로 진정한 명품 브랜드가 나아가야 할 길이다. 소비자의 높아진 윤리적 기준과 사회적 책임 요구에 발맞춰 명품 브랜드들이 공급망 전반에 걸쳐 진정한 변화를 이끌어낼 수 있을지, 아니면 일시적인 위기 모면으로 일관할지 귀추가 주목된다. 이러한 사건들은 단순한 개별 기업의 문제가 아닌, 전 세계 명품 산업의 구조적인 문제이자 윤리적 딜레마를 보여주는 단면이며,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근본적인 성찰을 요구하고 있다.
기사 윤승우 기자 seung_59@issuenfact.net
국내 대표 국공립 관현악단들이 한자리에 모여 국악관현악의 다채로운 매력을 선보이는 ‘제3회 대한민국국악관현악축제’가 오는 10월 15일부터 25일까지 서울 종로구 세종문화회관 M씨어터에서 열린다. 이 축제는 2023년 첫 개최 이후 매년 뜨거운 관심과 호응을 받으며 국악관현악의 외연을 넓히는 대표 플랫폼으로 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