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판 이완용?…트럼프 특사, 적국 러시아에 '항복 문서' 컨펌 받은 정황
2025-11-27 18:27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추진해 온 우크라이나 종전 협상의 민낯이 드러나며 워싱턴 정가가 발칵 뒤집혔다. 트럼프 대통령의 중동 특사이자 종전 협상 대표인 스티브 윗코프가 러시아 크렘린궁 고위 인사에게 우크라이나 영토 양보를 먼저 제안하고, 협상 전략까지 조언한 통화 녹취가 공개됐기 때문이다. 블룸버그 통신이 25일 보도한 녹취록에 따르면, 윗코프 특사는 지난달 14일 유리 우샤코프 크렘린궁 외교정책 보좌관과의 통화에서 "평화 협정을 성사시키려면 무엇이 필요한지 안다"며 "우크라이나 도네츠크 지역과 다른 땅의 교환"을 직접 거론했다. 심지어 두 사람이 먼저 협상안을 만들어 푸틴 대통령이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안하는 '각본'까지 제시한 사실이 드러나면서, 트럼프 행정부가 러시아에 극도로 편향된 종전 협상을 비밀리에 추진해왔다는 의혹이 걷잡을 수 없이 커지고 있다.[BANNERAREA50CD]

이번 사태는 향후 종전 협상 자체를 뿌리부터 흔들고 있다. 미국과 러시아 최측근 간의 비밀 소통 채널이 적나라하게 드러나면서 양국 간 신뢰는 바닥으로 떨어졌고, 협상의 공정성 역시 심각한 타격을 입었다. 외교가에서는 이번 녹취 유출의 배후로 트럼프의 성급한 종전 협상에 반대하는 유럽 정보기관, 러시아 내부 강경파, 혹은 트럼프의 대러 정책에 불만을 품은 미국 정보기관 내부자 등 다양한 가능성이 거론된다. 크렘린궁은 "평화 노력을 방해하려는 시도"라며 유출 자체를 비난했지만, 이미 드러난 '밀실 거래'의 실체는 향후 모든 협상 과정에 짙은 불신의 그림자를 드리울 전망이다. 트럼프 대통령이 윗코프 특사를 재신임하며 사태 수습에 나섰지만, 한번 무너진 신뢰를 회복하기는 어려워 보인다.
기사 윤승우 기자 seung_59@issuenfact.net

2025년도 통합문화이용권, 즉 '문화누리카드' 발급 신청이 오는 11월 28일 마감을 앞두고 있다. 이는 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문화생활을 누리기 어려운 이들에게 연간 14만 원의 지원금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올해 신청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불과 며칠 남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지원금 사용 기한은 올해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