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년 11월 26일 수요일

"미국인 아니면 돈 더 내"…트럼프 얼굴 박힌 국립공원 이용권, 역대급 차별 논란

2025-11-26 18:02

 도널드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 기조가 무역과 이민 정책을 넘어 이제는 국립공원 관광 정책에까지 깊숙이 파고들었다. 내년부터 미국을 방문하는 외국인 관광객들은 국립공원 연간 이용권을 구매할 때 미국 내국인보다 3배 이상 비싼 금액을 지불해야만 한다. 미 내무부는 국립공원을 1년간 무제한으로 방문할 수 있는 연간 이용권의 가격을 미국 시민권자와 영주권자에게는 기존과 동일한 80달러(약 11만 원)로 유지하되, 이들을 제외한 비거주자(외국인)에게는 250달러(약 36만 원)로 대폭 인상한다고 발표했다. 이는 노골적으로 자국민과 외국인을 차별하는 정책으로, 미국의 위대한 자연을 즐기기 위해 방문하는 전 세계 관광객들에게 상당한 재정적 부담을 안기게 될 전망이다.

 

[BANNERAREA50CD]
내무부는 이번 조치가 미국 납세자들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것이라고 정당화했다. 더그 버검 내무부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리더십은 항상 미국 가정을 우선한다"며 "이번 정책은 국립공원 시스템을 이미 지탱하고 있는 미국 납세자들은 공원을 계속 저렴하게 이용할 수 있게 하는 동시에, 국제 방문객들이 미래 세대를 위해 공원을 유지하고 개선하는 데 공정한 몫을 기여하게 하는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이는 결국 국립공원의 유지 및 관리 비용을 외국인 관광객에게 전가하겠다는 속내를 드러낸 것으로, '공정'이라는 단어 뒤에 숨은 노골적인 차별이라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다. 과거 트럼프 1기 행정부 시절에도 성수기 입장료 인상을 추진했다가 거센 여론의 반발로 무산된 바 있으나, 이번에는 더욱 노골적인 방식으로 정책을 밀어붙이는 모양새다.

 

이러한 미국의 '배짱 장사'가 오히려 자국 관광 산업에 독이 될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미국 아웃도어 전문 매체 '백패커'는 경제 분석 기관의 데이터를 인용해, 이번 조치가 없더라도 2025년 미국의 국제 방문객이 이미 11% 감소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가뜩이나 줄어들고 있는 해외 관광객의 발길을 이번 정책이 더욱 끊어놓을 수 있다는 경고다. 지난해에만 3억 3천만 명이 넘는 사람들이 찾았던 미국의 국립공원이 이제는 '미국인만을 위한 공원'으로 변질되고 있다는 비판 속에서, 이번 조치가 과연 국립공원의 재정 건전성에 기여할지, 아니면 미국 관광 산업 전체에 찬물을 끼얹는 자충수가 될지 귀추가 주목된다.

 

기사 윤승우 기자 seung_59@issuenfact.ne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