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예지, 박민영 논란 속 '약자보호법' 발의…'정책으로 답한다' 뼈있는 행보
2025-11-20 10:31
박민영 대변인의 '장애인 비하' 발언 논란이 국민의힘 당내 갈등의 핵으로 부상하고 있다. 논란의 당사자인 김예지 의원은 길었던 침묵을 깨고 취재진 앞에 서서, 사태를 무마하려는 듯한 당 지도부를 향해 작심한 듯 쓴소리를 쏟아냈다. 특히 장동혁 대표가 박 대변인의 사의를 반려하며 사실상 재신임한 결정에 대해, "'인재를 지켜야 한다'는 지도부의 논리를 개인 김예지로서는 도저히 이해하기 어렵다"고 정면으로 비판했다. 이는 단순한 감정적 서운함을 넘어, 이번 사태를 바라보는 당의 안일한 인식과 온정주의적 태도에 근본적인 문제가 있음을 지적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 의원은 여기서 그치지 않고, 송언석 원내대표가 이번 사안을 "자그마한 일"로 치부한 것에 대해서도 "갑작스러운 질문에 당황해서 나온 실언이기를 바란다"며 에둘러 깊은 유감과 불편한 심기를 드러냈다. 사실상 지도부의 연이은 미온적 대처가 김 의원을 직접 등판하게 만든 셈이다.[BANNERAREA50CD]

당내 파열음이 커지는 혼란스러운 상황 속에서도 김 의원은 국회의원으로서 자신의 본분을 묵묵히 수행하는 모습을 보이며 차별화에 나섰다. 그는 이날 중증장애인이나 아동 등 스스로를 방어하기 어려운 사회적 취약계층이 학대를 당했을 경우, 제3자가 대화나 주변 상황을 녹음하고 이를 법적 증거로 채택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의 '사회적 약자 보호법'을 대표 발의했다. 이는 박 대변인과의 갈등이라는 정쟁의 소용돌이 속에서도 자신의 정치적 소명인 '약자 보호'를 실현하기 위한 입법 활동을 멈추지 않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보여준 것이다. 당의 혼란과는 별개로, 자신이 정치를 하는 이유와 지향점을 구체적인 정책과 법안으로 증명해내면서 논란의 본질을 다시금 환기시키는 동시에, 다른 정치인들과는 다른 행보라는 평가가 나온다.
기사 김연우 기자 yeonwoo_kim@issuenfact.net

2025년도 통합문화이용권, 즉 '문화누리카드' 발급 신청이 오는 11월 28일 마감을 앞두고 있다. 이는 경제적 여건으로 인해 문화생활을 누리기 어려운 이들에게 연간 14만 원의 지원금을 제공하는 사업으로, 올해 신청할 수 있는 마지막 기회가 불과 며칠 남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지원금 사용 기한은 올해 12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