텅 빈 지갑, 멈춘 카드 '소비 절벽' 대한민국 경제 SOS?!
2025-04-04 11:16
[BANNERAREA50CD]일반적으로 개인 카드 이용액은 물가 상승률 이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인다. 소비자들이 기본적인 생활을 유지하기 위해 필요한 소비가 존재하기 때문에, 경기가 아무리 침체되어도 최소한 물가 상승률만큼은 이용액이 증가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이러한 안정적인 소비 흐름 덕분에 가맹점 수수료 인하에도 불구하고 카드사들은 매년 꾸준한 수익을 창출할 수 있었다.
그러나 올해 들어 카드 이용액 증가율이 물가 상승률보다 낮아지면서, 극심한 소비 침체가 현실화되고 있다는 분석이 지배적이다. 작년에는 2023년 대비 6.7% 늘어난 138조 6537억원, 2023년에는 2022년보다 12.9% 늘어난 129조 9796억원을 기록한 것과 비교해보면, 현재의 소비 위축 상황이 얼마나 심각한지 더욱 명확하게 드러난다.
카드업계 고위 관계자는 "통상 카드 매출이 역성장하지는 않지만, 물가 상승률이나 국내총생산(GDP) 성장률 등을 감안했을 때 올해는 충분히 성장하지 못하고 있다"며 "지난해 12월부터 시작된 소비 위축이 올해 들어 더욱 심화되고 있는데, 이 정도로 개인들이 지갑을 닫은 걸 본 적이 없다"고 우려를 표했다. 그는 또한 "정치적 불안정과 경제 불확실성이 소비 심리를 극도로 위축시키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이 장기화될 경우 경제 전반에 심각한 타격을 줄 수 있다"고 경고했다.
법인 소비 역시 위축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법인카드 이용 내역은 소비자물가 상승률보다는 소폭 높게 증가했지만, 증가폭이 둔화되었다. 여신금융협회에 따르면, 9개 카드사의 법인카드 이용 내역 중 구매 전용 결제액을 제외한 올해 2월까지 누적 이용액은 전년 동기 대비 2.4% 증가한 32조 893억원으로 집계되었다. 이는 지난해 같은 기간 전년 동기 대비 6.9%, 2023년 7.4% 늘어난 것보다 현저히 낮은 수치다. 법인들 역시 경기 불황에 대한 우려로 소비를 크게 늘리지 않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전문가들은 현재의 소비 위축 상황이 단기적으로 해소되기 어려울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정치적 불확실성이 지속되고, 글로벌 경제 침체 가능성이 높아짐에 따라 소비 심리가 쉽게 회복되기 어려울 것이라는 분석이다. 따라서 정부는 소비 심리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해야 하며, 특히 취약계층에 대한 지원을 강화하여 소비 양극화를 완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기업들은 투자와 고용을 확대하여 경제 활력을 제고하고, 소비자들이 안심하고 소비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기사 유정우 기자 yoo-woo@issuenfact.net
황순원 작가의 단편 소설 '소나기'를 모티브로 한 창작 뮤지컬 '리틀잭'이 4년 만에 다시 관객들을 찾아온다. 2016년 초연 이후 매 시즌 전석 매진을 기록하며 뜨거운 사랑을 받아온 이 작품은 오는 7월 28일, 서울 대학로 예스24아트원 2관에서 다섯 번째 시즌의 막을 올린다. 공연은 9월 21일까지 약 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