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파면, '명태균' 수사 도화선 되나? 김건희 여사 사법 리스크 재부상
2025-04-07 11:54
[BANNERAREA50CD]지금까지는 오세훈 서울시장 관련 의혹 등 주변 수사에 집중해왔으나, 윤 前 대통령이 파면됨에 따라 더 이상 수사를 미룰 이유가 없어졌다. 전직 대통령의 신분으로 수사를 받게 될 윤 前 대통령은 '명태균 게이트'의 핵심 인물로 지목되며, 검찰의 칼날을 피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 과정에서 명 씨로부터 공표 전 여론조사 결과를 전달받은 혐의를 받는 김건희 여사에 대한 소환 조사 가능성도 높아지고 있다. 일각에서는 두 달 앞으로 다가온 조기 대선 전에 관련 수사가 마무리될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해병대원 순직 사건과 관련하여 용산 대통령실이 수사를 방해하고 전방위적인 외압을 행사했다는 혐의로 고발된 윤 前 대통령에 대한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수사 역시 탄력을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민주당은 김건희 여사 상설특검을 통해 압박 수위를 최고조로 끌어올리고 있다. 특검은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코바나컨텐츠 뇌물성 협찬, 명품 가방 수수, 대통령 집무실 관저 이전 과정의 불투명성, 서울-양평 고속도로 특혜 의혹 등 총 11가지 의혹을 수사 대상으로 삼고 있다.
윤 前 대통령은 파면 이후 헌법재판소 결정에 대한 승복 메시지 없이 지지층 결집에 주력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늘 여러분 곁을 지키겠다"는 발언은 지지자들의 결속을 다지기 위한 메시지로 해석된다.
한편,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에서 거부권을 행사했던 '명태균 특검법'을 포함한 8개 법안에 대한 재의결을 강행하며, 윤 前 대통령 부부를 향한 공세를 더욱 강화할 계획이다.
기사 김연우 기자 yeonwoo_kim@issuenfact.net
조선 왕실의 숨결이 깃든 종묘 정전이 노후화된 목재와 균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대적인 수리 작업을 마치고, 5년 만에 그 웅장한 자태를 드러낸다. 국가유산청은 오는 20일, 종묘 정전을 일반에 공개하며, 창덕궁에 임시로 모셔졌던 조선 왕과 왕비의 신주를 본래의 자리로 되돌리는 '종묘 정전 환안제 및 준공기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