점유율 17%→30%…삼성 HBM4, SK하이닉스 독주에 ‘선전포고’
2025-10-30 17:15
삼성전자 반도체가 길고 길었던 부진의 터널을 뚫고 화려한 부활을 알렸다. 3분기 반도체 사업을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은 역대 분기 최고치인 33조 1000억 원의 매출을 기록했으며, 영업이익은 전 분기 대비 무려 17배 이상 급증한 7조 원을 달성했다. 한때 ‘아픈 손가락’으로 불렸던 반도체 부문이 전체 영업이익의 절반 이상을 책임지는 핵심 캐시카우로 화려하게 부활한 것이다. 이로써 삼성전자는 5개 분기 만에 전체 분기 영업이익 10조 원대를 가뿐히 회복하며, 시장의 우려를 말끔히 씻어내고 반도체 명가의 자존심을 되찾았다.[BANNERAREA50CD]

이미 시장의 예상을 뛰어넘는 실적을 거뒀지만, 삼성전자는 이제 막 부활의 신호탄을 쐈을 뿐이라는 평가가 지배적이다. 차세대 HBM4 개발을 이미 완료하고 고객사에 샘플을 전달하며 한발 앞서나가고 있기 때문이다. 경쟁사보다 미세한 공정을 적용한 삼성의 HBM4가 본격 양산되면 SK하이닉스가 주도하는 글로벌 HBM 시장에 거대한 지각변동이 예상된다. 시장조사업체는 내년 삼성의 HBM 시장 점유율이 현재의 두 배에 가까운 30%까지 확대될 것으로 전망하며, 삼성전자는 이에 발맞춰 내년 설비 투자를 대폭 늘려 HBM 시장의 왕좌 탈환에 나설 계획이다.
기사 유정우 기자 yoo-woo@issuenfact.net

K-클래식의 세계 무대 진출을 위한 전례 없는 ‘글로벌 커리어 개발 플랫폼’이 한국에서 최초로 열린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아르코)는 국제콩쿠르세계연맹(WFIMC)과 손잡고 오는 12월 5일부터 6일까지 서울 대학로 일대에서 ‘비욘드 더 스테이지 2025: 차세대 아티스트를 위한 국제 커리어 포럼’을 개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