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에서 태어나도 시민권 없다?!
2025-06-30 10:42
[BANNERAREA50CD]이번 대법원 판결은 보수 대법관 6명과 진보 대법관 3명의 의견이 극명하게 갈리며, 미국 사법부 내의 이념적 대립을 다시 한번 드러냈다. 대법원은 출생시민권 금지 정책 자체의 위헌성 여부는 판단하지 않았다. 대신, 하급 법원의 결정이 전국적인 파급력을 가질 수 있는지 여부가 핵심 쟁점이었다.
미국 수정헌법 14조에 명시된 출생시민권은 남북전쟁 이후 해방된 노예들에게 시민권을 부여하기 위해 제정되었으며, 오랫동안 미국 이민 정책의 근간을 이루어 왔다. 그러나 트럼프 전 대통령은 2021년 1월 20일 취임 직후, 불법 체류자나 영주권이 없는 외국인 부모에게서 태어난 자녀에게는 시민권을 부여하지 않겠다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논란의 불씨를 지폈다. 특히, 어머니가 불법 체류 신분이거나 일시적 체류자이며, 아버지가 미국 시민권자나 영주권자가 아닌 경우 태어난 자녀에게 시민권을 주지 않겠다는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됐다.
대법원은 다수 의견을 통해 '전국적 가처분'이 의회가 연방법원에 부여한 권한을 넘어설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했다. 반면, 진보 성향의 커탄지 잭슨 대법관은 소수 의견에서 이번 결정이 행정부가 소송을 제기하지 않은 사람들의 헌법적 권리까지 침해하는 것을 허용하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고 NYT는 전했다.
판결 직후 트럼프 전 대통령은 자신의 SNS에 "거대한 승리"라고 자축하며 이번 결과를 환영했다. 이번 대법원 판결로 인해 출생시민권 금지 정책의 효력이 중단된 22개 주는 워싱턴, 캘리포니아, 뉴욕 등 미국의 주요 진보 성향 주들이다.
이번 판결은 미국 이민 정책의 미래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된다. 출생시민권의 해석과 적용을 둘러싼 법적, 정치적 논쟁은 앞으로도 계속될 것이며, 이는 미국 사회의 정체성과 가치관에 대한 근본적인 질문을 던지고 있다. 특히, 부모의 체류 신분에 따라 자녀의 시민권 취득 여부가 결정되는 상황은 수많은 이민자 가족들에게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며, 사회적 혼란과 파장을 야기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기사 윤승우 기자 seung_59@issuenfact.net
전통의 미학과 창의의 정신이 맞닿는 특별한 자리, 디지털 시대의 도래 속에서도 종이의 본질적 가치를 되새기며 미래를 향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K-종이접기의 여정이 종이나라박물관에서 화려하게 펼쳐진다. 서울 중구 장충동에 위치한 종이나라박물관(관장 노영혜)은 서울특별시의 전폭적인 후원 아래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