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비판하면 카톡 정지? 카카오 '검열 논란' 일파만파
2025-06-30 10:07
[BANNERAREA50CD]일부 이용자들은 여야 정치인 이름을 딴 대화방을 각각 개설하여 카카오의 제재 기준에 편향성이 있는지 비교하는 시도까지 했다. 30대 B씨는 지난 19일 이 대통령과 김문수 전 고용노동부 장관에 대한 욕설을 문패로 단 오픈채팅방을 동시에 개설했다. B씨는 개설 5분 만에 이 대통령 관련 대화방만 일주일간의 이용 제한 조치를 받았다고 주장하며, 제한 사유는 ‘욕설·증오발언’이었다고 밝혔다. 이러한 사례들은 카카오의 정책 적용이 특정 정치적 발언에 대해 더 엄격하게 적용되는 것 아니냐는 사용자들의 의혹을 키우고 있다.
카카오 측은 이러한 논란에 대해 욕설·증오발언, 선정성·불건전 정보 등에 대한 제재는 2010년대부터 존재했던 정책이며, 이번 개정안의 주 목적은 테러 단체의 테러 행위에 대한 제재라고 강조했다. 카카오 관계자는 “이번 개정안 위반 시에는 ‘폭력적 극단주의 정보’와 같은 별개의 사유가 명시될 것”이라며 기존 정책과의 차이점을 명확히 했다.
‘특정 인물 비하 대화방만 이용을 제한하는 것 같다’는 주장에 대해 카카오는 “해당 이용자의 구체적인 제재 사유를 알 수 없지만, 특정 인물에 대한 얘기를 썼다고 해서 제재 확률이 높아질 가능성은 없다”고 해명했다. 카카오는 “같은 말을 반복하거나 피신고 이력이 쌓인 경우가 아니라면 제재 최소화가 원칙”이라며, 특정 정치적 발언에 대한 의도적인 차별은 없음을 재차 강조했다. 이번 논란은 플랫폼 운영자의 책임과 사용자 표현의 자유, 그리고 정책 투명성이라는 복잡한 문제에 대한 사회적 논의를 다시금 촉발하고 있다.
기사 유정우 기자 yoo-woo@issuenfact.net
전통의 미학과 창의의 정신이 맞닿는 특별한 자리, 디지털 시대의 도래 속에서도 종이의 본질적 가치를 되새기며 미래를 향한 새로운 가능성을 모색하는 K-종이접기의 여정이 종이나라박물관에서 화려하게 펼쳐진다. 서울 중구 장충동에 위치한 종이나라박물관(관장 노영혜)은 서울특별시의 전폭적인 후원 아래 '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