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 민가에 떨어진 폭탄…KF-16 오폭, 공군 훈련 안전 시스템 '구멍'
2025-03-07 11:23
[BANNERAREA50CD]이영수 공군참모총장은 "재발 방지 대책 마련"을 약속하며, "항공 무장을 다루는 모든 요원에 대한 안전 교육 및 확인 절차 보완"을 지시했다.
주한미군 역시 "모든 실사격 훈련 중단"을 결정, 예정된 지휘소 훈련(CPX) '자유의 방패'(FS)는 실사격 없이 진행될 것이라고 밝혔다.
사고는 6일 오전 경기도 포천 승진과학화훈련장 인근에서 발생했다. 한미 연합 훈련에 참가한 KF-16 전투기 2대가 무유도 폭탄 MK-82 총 8발을 훈련장이 아닌 민가 근처에 떨어뜨린 것이다.
초기 조사 결과, 조종사의 목표 지점 좌표 오입력이 사고 원인으로 드러났다. 이로 인해 민간인과 군인 등 15명이 부상을 입었으며, 폭탄 낙하 지점 인근 주민들은 급작스러운 폭발음에 혼비백산하는 등 큰 피해를 겪었다.
국방부도 김선호 장관 대행 주재 대책 회의를 열고, 국방부 차원의 사고대책위원회 설치를 예고했다. 국방부는 "철저한 원인 규명과 피해 복구, 재발 방지를 위한 모든 노력"을 다짐했다.
군은 공군 비행 중단과 함께 소총을 포함한 모든 종류의 실사격 훈련을 전면 중단한다고 밝혔다. 이는 추가 사고 예방 및 훈련 안전 시스템 전반에 대한 점검을 위한 조치다.
이번 사고는 군 훈련 안전 관리의 허점을 여실히 드러냈다. 철저한 원인 규명과 더불어 실효성 있는 재발 방지 대책, 특히 조종사 훈련 강화, 무장 시스템 점검, 훈련장 주변 안전 관리 강화 등 훈련 안전 시스템 전반의 개선이 시급하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기사 김연우 기자 yeonwoo_kim@issuenfact.net
조선 왕실의 숨결이 깃든 종묘 정전이 노후화된 목재와 균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대대적인 수리 작업을 마치고, 5년 만에 그 웅장한 자태를 드러낸다. 국가유산청은 오는 20일, 종묘 정전을 일반에 공개하며, 창덕궁에 임시로 모셔졌던 조선 왕과 왕비의 신주를 본래의 자리로 되돌리는 '종묘 정전 환안제 및 준공기념